한우 도매가격이 지난해보다 낮아졌지만, 선뜻 사 먹기엔 여전히 부담된다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는 왜 낮아진 한우 가격을 체감하기 어려울까요? <br /> <br />한우 도매가격 낮아졌다는데 소비자는 왜 비싸게 느낄까? <br /> <br />지난 2022년 축산 농가가 출하한 1+등급 한우 한 마리 가격(거세우)은 평균 950만 원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도매 단계를 거치면서 1,260만 원가량으로 불어났고요, 소매점에 도착했을 때는 2천만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 마리 값이 두 마리 값이 돼버린 거죠. <br /> <br />소매 단계에서 한우 가격이 뛰는 이유는 유통 비용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우 유통비용률은 53%인데요. <br /> <br />소비자가 시장에서 소고기 만 원어치를 샀을 때 소를 키운 축산업자에게는 4,700원이 돌아가고, 유통비용에 5,300원이 들었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소매 단계에는 대형 마트, 시장과 더불어 음식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가가 오르면 음식점에서 고정 비용으로 들어가는 인건비나 임대료 등도 덩달아 상승하며 유통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데요. <br /> <br />비싸다고 소문난 강남의 한 프랜차이즈 고깃집 메뉴판을 보면 피부로 느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우 꽃등심 110g에 13만 원, 먹성 좋은 사람 둘이 양껏 먹으면 백만 원은 족히 나온다는데요. <br /> <br />소비자는 비싼 값에 선뜻 지갑을 열기 어렵고, 축산 농가는 낮아진 한우 도매가로 고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장원석 (wsday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71918585530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